메뉴 건너뛰기

재단법인 녹우당문화예술재단

공재 작품 및 자료

기졸(記拙)

조회 수 145 추천 수 0 2021.07.31 23:25:49

20171029_162421.jpg

 

공재공 윤두서가 지은 화평 모음집. 1691년 9월부터 1715년 11월까지 기록된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현재 제1권은 전하지 않는데 공재공이 세상을 떠난 후 바로 유실되었다고 전해진다. 

 

제2권의 내용은 114제 80쪽으로 시(詩)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화평(畵評), 서간(書簡), 경문(經文), 열전(烈傳), 축문(祝文), 묘지찬문(墓地撰文) 등으로 꾸며져 있다. 

 

회화관계의 글인 화평(畵評)은 조선 초, 중기 화가들에 대한 작가평과 중국화에 대한 품평, 자신의 회화관으로 서술되어 있다.

 

조선시대 화가들에 대한 작가평은 안견安堅, 강희안姜希顔, 이상좌李上佐 등 20여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자신의 필묵 경험을 바탕으로 비평하였다.

 

중국 화가들에 대한 품평은 한대(漢代)의 모연수毛延壽(마오 이앤서우), 송대(宋代)의 소식蘇軾(쑤 스, 1036~1101), 원대(元代)의 조맹부趙孟頫(자오 멍후, 1254~1322), 전순거錢舜擧(치앤 순쥐), 예찬倪瓚(니 짠, 1301~1374) 등을 거론하였다.

 

자신의 회화관은 <자평自評>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필법이 공교로워야 하고 묵법은 그 묘미를 터득해야 하는데, 이 두 가지 법이 화합을 이루어야 ‘화(畵)’가 ‘도(道)’에 도달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화도(畵道)에 이르는 화품을 5가지로 구분하여 도(道), 학(學), 지(識), 공(工), 재(才)를 제기하였다. 즉 만물을 포괄하여 헤아릴 수 있는 것은 화지(畵識)이며, 형상의 의표(意表)를 터득하여 실행하는 것은 화학(畵學)이고, 만물의 척도가 되는 작대의 제작은 화공(畵工)이며, 마음먹은 대로 표현할 수 있는 손의 능력을 화재(畵才)라 하였으며 이들을 모두 갖추어야 화도를 이룰 수 있다는 회화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정확한 관찰과 사생을 통하여 대상의 진의를 파악하려는 회화관이며 단순히 사의(寫意)만을 강조하는 기존의 회화관과는 어느 정도 차별성을 보인다. 즉 청아하고 속기가 없는 사의적인 남종화론(南宗畵論) 그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전대(前代)에 비해 사생과 관찰을 중시하는 사실주의적인 회화관을 엿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 보물 심득경 초상 file 관리자 2023-03-04 3422
11 천하지도(天下地圖) file 관리자 2023-02-24 1070
10 서총대친림연회도 file 관리자 2023-02-16 1006
9 가전보회 file 관리자 2023-02-13 354
8 윤씨가보 file 관리자 2023-02-13 21137
7 일본여도 file master 2021-08-11 10807
6 동국여지지도 file master 2021-08-11 370
» 기졸(記拙) file master 2021-07-31 145
4 공재공가장 file master 2021-07-28 468
3 가전유묵 file master 2021-07-28 17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