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재단법인 녹우당문화예술재단

소장자료

옥봉시집

조회 수 76 추천 수 0 2021.08.13 21:29:46

옥봉시집.jpg

 

옥봉시집(玉峰詩集)

 

조선 중기의 시인 백광훈(白光勳)의 시문집.

 

4권(별집 1권 포함) 2책. 목활자본. 초간본은 백광훈이 죽은 지 27년이 지난 뒤인 1609년(광해군 1)에 그의 아들 진남(振南)이 편찬하고 윤안성(尹安性)이 간행하였다. 그 뒤에 그의 5세손 수경(受璥)에 의하여 1742년(영조 18)에 중간되었다.

 

또한, 1933년 그의 후손 영규(永圭)에 의하여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옥봉집』 건(乾)·곤(坤) 2책 상중하 별집의 4부분으로 된 책이 간행되어 전한다.

 

제1책 상권 첫머리에는 유근(柳根)·이정구(李廷龜)·신흠(申欽)의 서문과 오언절구·칠언절구의 281수, 중권에는 오언·칠언율시 103수, 그리고 제2책인 하권에는 오언·칠언의 고시가 29수가 있다.

 

그리고 『옥봉별집』은 각 체(體)의 시가 20수, 서(書)가 28편, 부록으로는 이이(李珥)를 필두로 20수의 만사, 백광훈의 연보, 정호(鄭澔)가 찬(撰)한 묘갈명, 끝부분에 5세손 수경의 발문과 윤광계(尹光啓)의 「옥봉집후서」이 수록되어 있다.

 

시집 속에 나타난 백광훈의 시는 율시와 절구에서 간결하고 고담(枯淡)한 기풍이 있어 중국의 이하(李賀)에 비유할만하였다. 고시에서는 작자의 경험에서 우러난 사실적인 묘사와 본유적인 정감의 세계를 잘 드러내고 있다. 절구는 「홍경사(弘慶寺)」가 대표적이다. 고시로는 「용강사(龍江詞)」와 「달량행(達梁行)」 등이 주목할 만하다.

 

특히, 「달량행」은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의 전장터였던 전라남도 영암 달량성에서 직접 체험한 사실을 시로 형상화한 것이다. 당시 종군하였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남정가(南征歌)」와 재미있는 대조가 된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3

당악문헌 file

  • master
  • 2021-07-27
  • 조회 수 91

해남 윤씨 가문에서 선대 인물들의 행적과 기록을 모으기 시작한 것은 공재공 윤두서(尹斗緖, 1668~1715) 때부터로, 이후 이를 바탕으로 윤위(尹愇)가 『해남윤씨문헌(海南尹氏文獻)』을 완성하...

22

해남윤씨 최초족보 임오보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172

해남윤씨는 고려 중기 윤존부를 시조로 이후 7세조까지는 실전되어 기록이 없으며 8세조 영동정공 윤광전부터 기록이 되어 있다. 대호군공 단봉과 소윤공 단학 두 형제 이후 8파를 형성하고 있...

21

고산유고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75

고산공 윤선도의 시문집이다.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徐有隣)이 왕의 명을 받고 간행하였다. 그 뒤 정조 22년 전라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

20

고산유금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76

고산유금은 고산공 윤선도가 350여 년 전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거문고다. 이후 1982년 윤선도의 14대 종손인 윤형식 씨가 서고에서 발견, 세상에 알려졌지만 소실된 부분이 많아 연주가...

19

낭옹신보와 아속가사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121

낭옹신보 김성기(金聖基)의 거문고가락을 채보한 악보. 김성기의 아들과 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편찬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무신년 국추(菊秋)에 김성기가 죽은 뒤 남원군(南原君)이휼...

18

회명정측 file

  • master
  • 2021-07-28
  • 조회 수 102

고산공 윤선도가 거문고의 제작방법과 사용법을 자세히 적어 놓은 책

17

서구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50

고산선생을 비롯한 후손들이 사용하였던 붓과 벼루

16

어초은공 시향윤판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59

어초은공 아들 4형제가 정조, 한식, 단오, 추석 등 주요 절기에 따라 돌아가면서 제사를 드리는 조약에 대해 기록한 것으로 고산 윤선도가 직접 쓴 것이다.

15

관규집요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58

황정(1650?~1730) 조선 1700년대 필사 종이에 먹 23.1×15.3cm 녹우당 소장 「관규집요」는 중국 청나라 황정이 1656년에 저술한 책으로 천문, 역상, 지리, 인사, 재해, 점복 등 다양한 내...

14

서죽 영기경 초씨역림 file

  • master
  • 2021-08-11
  • 조회 수 148

조선 후기 종이에 먹 26.1×17.5cm, 24.0×17.2cm, 25.2 x 16.1cm 녹우당 소장 서죽(筮竹)은 대나무를 가늘게 깎아 막대기로 만든 점술구다. 공재 윤두서가 사용했던 것으로 주역의 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