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재단법인 녹우당문화예술재단

고산 작품 및 자료

고산가사

조회 수 192 추천 수 0 2021.07.27 10:02:14

가사1.jpg

가사2.jpg

고산공 윤선도의 문집인 《고산 유고(孤山遺稿)》 전 6권 6책 중 제6권 <별집(別集) 하(下)>를 이르는 말.

‘가사(歌辭)’라는 이름으로 윤선도의 시조가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시조는 산중신곡(山中新曲) 20수,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2수, 초연곡(初筵曲) 2수, 파연곡(罷宴曲) 2수,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40수, 몽천요(夢天謠) 3수, 견회요(遣懷謠) 5수, 우후요(雨後謠) 1수의 순으로 도합 75수가 수록되어 있다.

 

산중신곡은 작자가 유배지 영덕(盈德)에서 풀려나와 전남 보길도의 금쇄동(金鎖洞)에 은거하고 있을 때(56∼59세)의 작품인데, 만흥(漫興) 6수, 조무요(朝霧謠) 1수, 하우요(夏雨謠) 2수, 일모요(日暮謠) 1수, 야심요(夜深謠) 1수, 기세탄(饑歲歎) 1수, 오우가(五友歌) 6수, 고금영(古琴詠) 1수, 증반금(贈伴琴) 1수 도합 20수를 통틀어 이른다.

 

그 내용을 보면 만흥은 ① 혼란한 정계(政界)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 묻히는 평화스러운 마음, ② 간소한 생활과 산수(山水)를 벗하는 심회, ③ 원산(遠山)의 가경(佳景), ④ 산림(山林)에 묻혀 사는 생활, ⑤ 산림에 파묻혀 자연을 완상(玩賞)하며 이곳을 떠나지 않겠다는 심회, ⑥ 자연 속에서 행복하게 지내는 것도 임금의 은혜라는 성은(聖恩)의 무궁함을 각각 노래하였다. 조무요는 미운 안개가 온 세상을 뒤덮고 있지만 뜨거운 태양에 걷히리라는, 즉 간신의 무리가 밝은 성덕(聖德)으로 제거되리라는 상징적인 내용이다. 하우요는 장마철의 농촌생활을 읊은 작품이며, 일모요는 산촌의 해진 뒤의 풍경을 읊은 노래, 야심요는 산중에서 한적한 밤의 안식을 노래한 작품, 기세탄은 궁핍한 농민의 생활을 탄(歎)한 노래이다. 오우가는 끊이지 않고 흘러내리는 물, 변함없는 바위, 눈과 서리에 굽히지 않는 솔[松], 사철 푸른 대[竹], 보고도 말 아니하는 달[月]을 제재로 하여 읊었다. 고금영은 묵혀 두었던 가야금을 다시 한번 타 보며 현재의 처지를 읊은 노래, 증반금은 현묘(玄妙)한 음을 내는 가야금을 찬탄한 노래이다.

 

산중속신곡은 추야조(秋夜操) 1수와 춘효음(春曉吟) 1수를 통틀어 이르는데, 추야조는 작자의 59세 때 작품으로 추야(秋夜)의 심회를 읊은 것이며, 춘효음은 60세 때의 작품으로서 새봄을 맞이하는 감회를 읊은 것이다.

 

초연곡은 나라의 연회(宴會) 석상에서 임금께 풍간(諷諫)하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첫째 수에서 대장(大匠)의 공은 충신들의 공로를, 나무가 곧음은 임금의 인덕(仁德)을, 고자줄은 성현의 법도를 가리킨 것이고, 둘째 수에서 술과 국은 임금의 성덕을, 누룩 섞을 탓과 염매(鹽梅) 탈 탓은 어진 신하들의 보필할 탓임을 비유한 것이다. 임금의 만수무강을 비는 충성심에 곁들여 첫 수에서는 성현지도(聖賢之道)를, 둘째 수에서는 보필대신(輔弼大臣)을, 풍간법(諷諫法)을 빌려 잘 나타내고 있다.

 

파연곡은 첫 수에서 연회를 즐기되 뒤에 따를 근심과 한탄을 생각해서 절제할 것과, 둘째 수에서 주도(酒道)와 무례(舞禮)를 지킬 것을 세련된 기교로 읊은 교훈적인 노래이다.

 

어부사시사는 세전(世傳)하던 <어부가>를 이현보(李賢輔)가 개작하고 다시 작자가 창작한 춘사(春詞) ·하사(夏詞) ·추사(秋詞) ·동사(冬詞) 각 10수씩 40수로 이루어진 연시조(連時調)이다. 원가(原歌)와 개작가(改作歌)는 한문 고시(古詩)를 그대로 따서 토를 붙인 것에 불과한데, 난삽한 한시구(漢詩句)를 순우리말로 바꾸었다. 특히, 기교면에서 대구법(對句法)의 처리, 환경변화와 시간의 추이에 따른 시상(詩想) 전개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다.

 

몽천요는 작자가 66세 때(1652) 동부승지(同副承旨)가 되었으나 정치적인 여건 때문에 노환(老患)을 핑계삼아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명승지 고산(孤山)에 가서 휴양하고 있을 때에 지은 작품이다. 내용은 당시의 조신(朝臣)들의 방해로 은퇴하지 않으면 안되는 비통한 심정과 혼탁한 조정의 상황을 개탄한 노래이다. 비분과 증오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노출하지 않고 함축적인 표현을 써서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견회요는 작자가 30세 때 경원(慶源) 적거(謫居)에서 지은 노래이다. 그 내용을 보면 ① 남이야 뭐라고 말하든 자기 신념대로 살아가겠다는 고고한 의지를 읊었고, ② 자기의 억울한 사정을 임만은 알아달라는 애절한 호소를 노래하였으며, ③ 임금을 끊임없이 그리워함을 시냇물에 비유하여 읊었고, ④ 산너머 물 건너 저 멀리 고향에 두고 온 어버이를 그리는 외로운 심정을 그리고, ⑤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떠나서 부모에 대한 효성을 생각할 수 없다는 충효의 관념을 읊었다. 관념과 정감을 직서(直敍)하지 않고 적절한 상징과 비유법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

보길도지 file

  • master
  • 2021-08-01
  • 조회 수 365

보길도지(甫吉島識)는 고산문학의 산실인 명승 제34호 보길도 윤선도 원림이 위치한 부용동을 찾아 그곳의 조경과 풍습을 소상하게 밝힌 기행문이다. 윤선도의 5대 손인 윤위(尹愇 : 1725-1756)...

8

고산공 기장 시비 file

  • master
  • 2021-07-31
  • 조회 수 121

고산공은 광해군 때 이이첨의 전횡을 탄핵하는 병진소를 올렸다가 함경북도 경원으로 유배를 갔다가 부산 기장으로 이배를 하였다. 고산공은 삼성대에서 동생 윤선양을 만나고 이별하면서 증별...

7

고산(孤山)이라는 호의 유래 file

  • master
  • 2021-07-31
  • 조회 수 278

명월정 서쪽 해민료 자리로 추정되는 자리에 몽천요 시비가 세워져 있다. 양주 고산 명월정 자리로 추정되는 터. 산의 중앙 지점에 은행나무가 서있다. 강건너 하남에서 바라본 고산 고산공이 ...

6

고산공 영덕 시비 file

  • master
  • 2021-07-31
  • 조회 수 117

시비는 2006년 3월 11일에 영덕의 푸른 동해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경북 영덕군 창포리 창포풍력단지 내에 세워졌다. 고산공은 병자호란때 근왕병을 이끌고 강화도로 가다가 삼전도 굴욕이 있자 ...

5

진도 굴포리 고산공 제당 file

  • master
  • 2021-07-31
  • 조회 수 20066

고산공이 간척지를 위하여 쌓은 원둑. 1991년 사진 진도 굴포리 간척지는 대한민국 민간간척지 1호로 알려져 있다.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에서 매년 정월 보름 이곳 주민들이 고산공 윤...

4

고산공 양자로 가신 집터 file

  • master
  • 2021-07-31
  • 조회 수 100

고산공이 종로구 연화방(현 연지동)에서 태어나 중구 남부 명례방(현 서울 중구 명동성당 부근)으로 양자로 오셔서 사시던 집터이다. 명동 YWCA 앞에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3

고산유고 file

  • master
  • 2021-07-27
  • 조회 수 127

고산공 윤선도의 시문집이다. 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徐有隣)이 정조의 명을 받고 간행하였다. 그 뒤 정조 22년 전라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

»

고산가사 file

  • master
  • 2021-07-27
  • 조회 수 192

고산공 윤선도의 문집인 《고산 유고(孤山遺稿)》 전 6권 6책 중 제6권 <별집(別集) 하(下)>를 이르는 말. ‘가사(歌辭)’라는 이름으로 윤선도의 시조가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시조...

1

고산공 생가터 file

  • master
  • 2021-07-26
  • 조회 수 132

고산공 윤선도는 1587년 선조 20년 정해년 6월 22일 한성 동부 연화방(서울 종로구 연지동)에서 태어나셨습니다. 1991년 12월 24일 대학로에 세워진 고산공 윤선도의 생가터 표지석 겸 오우가비...

위로